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 전환 이유와 수익 전망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 전환 쇼핑 광고

구글 애드센스가 2024년 클릭당 비용(CPC)에서 노출당 비용(CPM)으로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하고 있습니다. 요즘 이 문제로 말이 많은데 2023년 12월 현재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 전환 실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 2024년 2월 1일부터 CPM 광고로 전환되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 전환 이유

불법 쿠키 수집 이슈

  • CPM 전환의 진짜 이유는 제3자 추적 쿠키를 법률상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서 무효 클릭 판별 여부를 감지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기 때문이다.
  • 지금까지는 CPC 사기를 적절하게 추적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이 있었으나 더 이상 그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CPC 방식을 지속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다.
  • 쿠키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이것을 이용한 CPC 클릭 사기를 잡는 것보다 CPM로 전환하는 것이 여러모로 이익이 크기 때문에 CPM으로 전환를 고려하는 것이다.

– 북미 광고업계 전망

쿠키란 사용자 방문 흔적입니다. 내가 쿠팡에서 아이패드를 검색했다면 그 검색기록을 구글에서는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글에서는 이미 어떤 글에 어떤 광고를 붙여야 최상의 효율을 내는지 AI 학습을 통해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쿠키를 무단으로 수집하지 않아도 어느 부분에 어떻게 광고를 개제해야 하는지 이미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효 트래픽을 잡아 낼 때 쿠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했을 때 그 쿠키와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합니다. 예를 들면 아이패드, 아이폰 이런 것들만 검색하던 사람이 갑자기 겔럭시 광고를 클릭한다던지 무지출 챌린지, 거지방만 검색한 사람이 갑자기 해외여행 특급 호텔 광고를 클릭한다면 이것은 그냥 일부러 돈을 벌기 위해서 광고를 누를 확률이 크다는 것입니다. 이런 무효 트래픽을 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CPM으로 전환한다는 것이 광고 업계들의 입장입니다.

CPM 광고 수익 전망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으로 전환되어도 수익의 큰 변화가 없다고 애드센스팀은 답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떨어지는 사람도 있고 별 차이 없는 사람 분명히 오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금 애드센스 광고가 테무라는 중국 쇼핑몰이 주로 뜨고 있습니다.

CPM 광고 RPM

제 블로그에는 테무 광고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고 그 다음으로는 쿠팡 이런 것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저는 손해를 본 줄 알았는데 2월 1일부터 본 결과 대부분 괜찮습니다. 연애인 사칭 광고를 무분별하게 뿌렸고 이것이 단가가 매우 낮아서 수익이 적은 것이였는데 이것을 CPM 광고로 착각하였습니다. 이 광고가 저렴할까 비쌀까라는 생각보다 그냥 광고를 클릭하는 사람에게 짜증을 유발하는 광고들을 다 차단하였습니다.

어차피 그런 사람들은 적당한 입찰가를 써 내지 않을 것이고 대부분 차단하기 때문에 내 블로그로 유입되는 것은 시간문제입니다. CPM으로 인하여 손해를 봤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분명 사람들에게 짜증을 나게 하는 광고를 차단한다면 수익이 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황현희 사칭 광고 차단 안 하면 구글 애드센스 수익 나락갑니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 차단 중요한 이유

티스토리 수익이 증가할까?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으로 전환이 된다면 노출당 비용을 주는 것 때문에 카카오가 상단 광고를 차지하고 있는 티스토리에서 수익이 증가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모든 사람이 글을 끝까지 읽지 않고 심지어는 몇 초 만에 나가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광고가 모두 송출되지 않는 현상이 분명히 발생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티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으로 변화하였다 하더라도 큰 수익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실험은 안 해봤지만 제일 위에 노출되는 광고와 중단에 노출되는 광고의 단가가 같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상단광고의 효율이 가장 좋기 때문에 광고의 단가가 같다고 생각하지도 않을 분더러 노출을 위해서 광고를 덕지덕지 붙이더라도 입찰가가 낮아진다고 볼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광고를 적당히 다는 블로그에는 광고를 달 수 있는 공간이 적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여 CPM이 오를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아무 글이나 쓰면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CPM에 송출되는 광고는 쇼핑 광고입니다. 대부분 쇼핑을 하는 사람들이 주부들이 많습니다. 남자들은 보통 직장에 가서 돈을 벌고 집에 들어오고 생활비를 주면 대부분 아내가 장을 보거나 쇼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최악인 20대 남자들 타겟인 게임 같은 글이나 돈이 없는 중고등학생이 주로 읽는 글들은 앞으로도 미래가 어두울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 건강, 대출, 보험 같은 광고가 문맥광고로 뜨기도 하고 고단가이기는 하나 이런 글들보다는 쿠팡 파트너스처럼 제품 리뷰어들의 사이트가 더 돈을 많이 벌어드릴 것 같습니다.

전문적인 글들은 여전히 수익창출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전문적인 글들이라도 초보자들이 읽기 쉽게 쓰인 글들 여자들이 좋아하는 감정, 공감 같은 글들 또한 수입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슈 글은 수익이 높아질 것인가에 대해서도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슈 글이 안 좋은 이유가 누구나 똑같은 글들을 빨리 쓰기 때문에 체류시간이 매우 짧다는 것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는 조회 수가 일어났다고 해서 돈을 많이 주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이 광고를 클릭하거나 적어도 광고 근처에 오래 머물러야 수익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또한 CPM 기반이었다 하더라도 광고를 클릭하고 물건을 구매하면 무조건 커미션을 주는 구조로 갈 것이기 때문에 여전히 어려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익이 하락한줄 알았는데 애드센스팀의 말대로 CPM으로 전환하더라도 저 같은 경우는 수익이 괜찮았습니다. 수익이 하락했다면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광고 차단을 해 보시고 다시 수익을 비교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CPC에서 CPM 전환 이유와 수익 전망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